Theorem. (해의 존재성) 만약 가 연속이면 미분방정식 는 어떤 적당한 영역에서 유일한 해를 가진다. 여기서 해가 유일하다는 것은 linearly dependent한 해는 모두 하나로 보았을 때가 아니라 진짜 함수의 유일성을 뜻해요. 계수까지 다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존재정리는 위와 같고, 풀 때는 양변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이런 미분방정식을 풀 때 Picard's method라고, 함수를 수열 으로 고려합니다...
Mean Value Theorem극한을 직접 계산하지 않고도 구간 안에 어떤 미분값이 존재함을 알려주는 멋진 정리이다. f가 [a,b]에서 연속이고 (a,b)에서 미분 가능할 때 이 정리에서 f(a)=f(b)일 때가 롤의 정리이고, 반대로 롤의 정리에서 이 정리가 쉽게 유도된다.를 생각해보면 g(a)=g(b), g는 [a,b]에서 연속, (a,b)에서 미분 가능하므로 롤의 정리를 적용하여\[ \exists c \in (a,b) \quad \mathrm{such \ ..
first derivative testf는 c 근처에서 연속이고 미분 가능할 때 그런 구간 (a,b)를 잡아서 이므로 이다.에 대해 f'은 [c,x]에서 연속이고 (c,x)에서 미분 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해 인 가 (c,x) 안에 존재한다. 이므로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