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es of Uncertainty

닫기 검색결과 전체 보기
  • 블로그를 이사하였습니다.

    여러 고민 끝에 블로그를 이사하였습니다. 재공지를 하기 전까지는 이 글을 마지막으로 본 사이트에 글을 올리지 않을 예정입니다. 그동안 부족한 블로그 찾아와주신분들께 감사드리고, 새로운 환경에서 앞으로 더 좋은 글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새로운 블로그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https://3-24.github.io

    카테고리 없음
    2019. 2. 27. 20:45
  • Codeforces Round #532 (Div. 2) 후기

    1. Roman and Browser https://codeforces.com/contest/1100/problem/Ab를 0부터 k-1까지 바꿔가면서 비교를 통해 최대 절대값을 찾아내면 됩니다. 직접 b+ik만 제외하면서 더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전체 합을 구해놓고 b+ik의 원소를 빼는 형태로 구현했습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int n,k; cin >> n >> k; int Data[n]={0,}, initSum = 0; for (int i=0;i> Data[i]; initSum += Data[i]; } int output = 0; for (int b..

    프로그래밍/문제해결
    2019. 1. 14. 22:23
  • Codeforces Round #531 (Div. 3) 후기

    1. Integer Sequence Dividing https://codeforces.com/contest/1102/problem/A 처음에 임의의 원소를 받아서 차가 최소가 되도록 나눈다는 줄 알고 이상한 방향으로 고민했었습니다. 만약 그런 문제였다면 어떻게 풀어야 할 지 아직도 모르겠네요. 문제에서는 연속된 n개의 수에 대해서만 풀면 됩니다. 연속된 4개의 수가 x, x+1, x+2, x+3 이렇게 주어졌다면 A에다가 x와 x+3을 넣고 B에다가 x+1과 x+2를 넣으면 없는 걸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큰 쪽부터 네 개씩 덜어내면서 문제를 1,2,3 최대 세 개의 연속한 원소가 있는 형태로 바꿀 수 있어요. 이 형태의 출력은 그냥 resultArr라는 배열로 저장했습니다. 이게 최적인 이..

    프로그래밍/문제해결
    2019. 1. 14. 22:21
  • 190109

    다룰만한 무거운 주제도 없고, 필체에 고치고 싶은 부분도 있어서 짤막한 글을 많이 쓰려고 해요. 평소같았으면 안썼을 간단한 프로그래밍 문제 풀이나, 제가 생각하기에 자잘하지만 중요한 팁들을 적을 예정입니다.조립식 컴퓨터를 조만간 만들 예정이에요! 예전부터 노트북보다 더 확장 가능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사양은 하이엔드는 무조건 피하면서 오래 쓰는 목적으로 맞췄습니다. 찾아보니까 이렇게 해도 왠만한 게임은 안정적으로 프레임이 나온다고 하네요. AMD CPU를 쓰면서 부품 교체의 여지를 남겨놓았고(2020년까지는 소켓이 바뀌지 않는다고 하네요) 멀티부팅이 용이하도록 SSD 용량을 넉넉하게 정했습니다.CPU: AMD 라이젠 5 2600메인보드: MSI 박격포(AMD-B450/M-ATX)그래픽..

    카테고리 없음
    2019. 1. 9. 15:59
  • hello
    윈도우 실행 바로가기 커맨드 추가하기

    1. 서론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이나 자주 들어가는 폴더를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드는 기능이 윈도우에는 있습니다. 하지만 제 경험으로는 바탕화면 배경을 아이콘들이 지저분하게 막고, 같은 모양의 바로가기가 반복되어서 찾기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그래픽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주절주절/자잘한 팁
    2019. 1. 9. 14:56
  • hello
    20190101

    새해가 밝았네요. 글을 3일에 최소 한 번으로 자주 쓰는 것을 새해 목표로 블로그를 다시 활성화시켜보려 합니다. 주제는 프로그래밍이나 6학기 때 수강한 내용 복습 겸 정리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대학 입시가 끝나고 걱정이 없는 잉여잉여답게 방학을 한 후 '해야할 일'만 하면서 놀고 있습니다. 아침에 도서관에 봉사하러 가는 것 외에는 딱히 하는 것이 없네요. 가끔 Codeforces 대회에 참가하거나 백준 문제 몇몇개 푸는 정도입니다. problem solving이 이렇게 의욕없을 때는 정말 좋아요! 예전에 Python에서 C++로 언어를 갈아탄 이후로 코포가 Pupil(초록!)로 떡락했었는데 지난 대회에서 세 문제를 풀어서 Specilist(청록청록)를 수복했습니다. 올해 안에 Expert(파랑) 안정..

    주절주절
    2019. 1. 1. 23:18
  • hello
    거미에 관한 놀라운 사실

    https://www.reddit.com/r/ProgrammerHumor/comments/8vpymj/spiders_are_the_only_web_developers/저는 디버깅도 귀찮아서 프린트로 때우는데 ㅎㅎ

    주절주절/유머
    2018. 11. 19. 21:05
  • hello
    이산구조 LaTeX 양식

    \documentclass[11pt, a4paper]{article} \usepackage[left=2.5cm,right=2.5cm,top=3.5cm,bottom=3.5cm,a4paper]{geometry} \usepackage[utf8]{inputenc} \usepackage{kotex} \usepackage{helvet} \usepackage{amsmath, amssymb, amsthm, mathtools} \setlength{\parindent}{0pt} \usepackage{color} \usepackage{array} \newcolumntype{P}[1]{>{\centering\arraybackslash}p{#1}} \renewcommand{\baselinestretch}{1.15} % for ..

    주절주절
    2018. 11. 8. 12:10
이전페이지
더 보기
다음페이지

동기(motivation) 중심의 수학 이야기

by Lamplighter

공지사항

  • thumbnail 블로그 구현 로그

    최근

  • 포스트
  • 댓글
  • More

태그

  • CSS
  • Intermediate Value Theorem
  • toy contour
  • 대칭 게임
  • Primitive
  • closed
  • YDK
  • degree
  • Open
  • 카탈란 수
  • complex analysis
  • Cauchy's theorem
  • Jacobi triple product identity
  • mean value theorem
  • Calculus
  • multiplicative function
  • 반실재론
  • NEIGHBORHOOD
  • 11006
  • continuous
  • power series
  • Cauchy sequence
  • q-series
  • codeforces
  • Markdown
  • Cauchy inequalities
  • Fermat's theorem
  • Rolle's theorem
  • 미분방정식
  • Cauchy integral formula

글 보관함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Defining Log (129)
수학 (78)
미적분학 (20)
정수론 (14)
기초수학 (10)
매듭 이론 (7)
위상수학 (6)
그래프 이론 (4)
대수학 (2)
집합론 (1)
복소해석학 (9)
조합론 (0)
프로그래밍 (11)
티스토리 (1)
스크랩 (5)
문제해결 (3)
주절주절 (35)
유머 (2)
삶 (4)
자잘한 팁 (1)
연구하는 일상 (2)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 방명록
Lamplighter'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 5+ by 뭐하라


Series of Uncertainty

동기(motivation) 중심의 수학 이야기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Defining Log

CATEGORY

  • 모든 글 보기
  • 수학
    • 관련 글 모두 보기
    • 미적분학
    • 정수론
    • 기초수학
    • 매듭 이론
    • 위상수학
    • 그래프 이론
    • 대수학
    • 집합론
    • 복소해석학
    • 조합론
  • 프로그래밍
    • 관련 글 모두 보기
    • 티스토리
    • 스크랩
    • 문제해결
  • 주절주절
    • 관련 글 모두 보기
    • 유머
    • 삶
    • 자잘한 팁
  • 연구하는 일상
  • 방명록
  • Desktop Mode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