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gkim5360.tistory.com/entry/adjusting-iframe-height-100-precent사용자의 스크린에 iframe을 맞출 때 무조건 자바스크립트를 써야 할 줄 알았는데, vw, vh라는 단위가 존재하는 것을 알고 순간 감동했습니다. 예를 들어 80vh라는 단위를 사용한다면 그 사용자 스크린 높이의 80%를 자동적으로 반영됩니다!
Suppose that set \(A\) satisfying \( A \in A\) exists.Then \( \{A\} \subseteq A\).Since \(\{A\}\) is set, there is an element \(a \in \{A\}\) such that \( a \cap \{A\}= \emptyset \). (Axiom of Foundation)\(a \in \{A\}\) implies \(a = A\).Therefore \( A \cap \{A\} = A = \emptyset\)But \(A \in A \cap \{A\}\) since \(A \in A\) and \(A \in \{A\}\), deriving contradiction. To prove a class not exists..
Theorem. Let \(\vec{c} (t)\) as a position of the particle of mass \(m\) at time \(t\). Let \(V : \mathbb {R}^3 \rightarrow \mathbb{R}\) as a potential function, having \( - \nabla V \) as a force field. Then \[\frac 1 2 m \| \vec{c}'(t) \|^2 + V( \vec{c}(t))\] is constant. proof. Let above equation as \( E(t)\), and set our aim as showing \(E'(t) = 0 \). Thereby approaching \(V(\vec{c}(t) )\) f..
(LaTeX 코드 일부)코딩을 할 때 Consolas를 사용하는데, 이 폰트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즉,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한글을 입력할 때 굴림체로 출력된다.한글에 한해 나눔고딕을 사용했는데, 고정폭이 아니고 얇아서 이것도 효과적인 대안은 아니다.(Consolas, 나눔고딕 을 Font에 적으면 우선순위대로 적용된다!)검색을 통해 Naver Developers에서 고정폭 코딩용 폰트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써보니까 한결 낫다.한글이 포함된 코딩을 할 일이 많다면 적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서버를 제공하는 쪽에서 web의 telegram PORT 연결을 하지 못하게(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연결하도록) 바꾼 것 같습니다. 서버도 초기화하고 코드도 최적화하면서 해결 방법을 찾으려고 꽤 노력했는데 별다른 진전은 없었고, 생각해볼 수 있는 대안으로는 다른 서버를 찾거나, 프로그래밍 언어를 바꾸는 것인데 시간이 많이 깨질 것 같아서 일단 구독봇 개발은 쉬는걸로 합니다.대안으로는 IFTTT에서 일부 유저가 만들어놓은 피드 구독 봇(#)이 있습니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봇의 공백이 불편한 몇몇 사람들은 그걸 써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도 유용하게 쓰고 있고요.코드 공개를 하려고 했지만 token, telegram id 등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어려울 것 같아요.
For \(n \in \mathbb{N} \),\[ \begin{align*} \mu &:= \mu _n (a,q) := \sum _{k=0} ^{ [(n+1)/2] } \frac { (q)_{n-k+1} a^k q^{k^2} }{ (q)_k (q)_{n-2k+1} } \\ \nu &:= \nu _n (a,q) := \sum _{k=0} ^{[n/2]} \frac { (q)_{n-k} a^k q^{k(k+1)} }{(q)_k (q)_{n-2k} } \end{align*} \]Then\[ \newcommand{\surplus}{\mathbin{\genfrac{}{}{0pt}{}{}{+}}} \frac \mu \nu = 1+ \frac {aq} 1 \surplus \frac {aq^2} 1 \surplus ..
Continued fraction is the fraction of the next form.\[ \newcommand{\surplus}{\mathbin{\genfrac{}{}{0pt}{}{}{+}}} Q_n = a_0 + \dfrac{b_1}{a_1 + \dfrac{b_2 }{a_2 + \dfrac{\ddots }{\ddots \dfrac{b_{n-1}}{a_{n-1} + \dfrac{b_n}{a_n} } }}} = a_0 + \mathop{\vcenter{\Large\mathrm{K}}}_{i=1}^{n} \frac{b_i}{a_i} = a_0 + \frac {b_1}{a_1} \surplus \frac {b_2}{a_2} \surplus \cdots \surplus \frac {b_n}{a_n} \..
분할 정복divide-and-conquer을 이용해 구현한 배열의 정렬 함수입니다. 시간복잡도는 \(O(N \log N ) \)입니다. merge 함수에서 \(O(N)\)이 걸리고, 분할 정복 프로세스가 \(O(\log N) \)이기 때문입니다.
keylogging을 해서 모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인데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해야 할 지 효율적인지 감이 안잡힌다.복잡도 고려하지 않고 변환을 계속 해서 내가 원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다듬을 수는 있어도 위 고민들 때문에 진행이 안된다.역시 학교에서 Data Structure를 들어볼걸 그랬다.
ascii가 하나같이 다 이상해서 keylogger을 만드려다 말아먹었다..심지어 Alt나 left_arrow 같은 것도 인식이 잘 안된다.github에 올라온 것들은 다 이 라이브러리를 쓰는거라 믿을 수 있는게 없다.(적어도 버전 2. 대에서는)스택오버플로우에 따르면 python 3.5 버전에서 정상 작동한다고 하던데 3.5를 깔기는 귀찮고java나 c를 도피구로 삼아야 할 것 같다. [당일 21:24]win32api 라이브러리의 GetAsyncKeyState 함수로 직접 해결했다.import win32api, time, datetime VK_CODE = {'backspace':0x08, 'tab':0x09, 'clear':0x0C, 'enter':0x0D, 'shift':0x10, 'ctrl':0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