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017

    Heroku 무료 이용 약관 때문에 서버를 24시간 굴리려면 두 서버가 서로 상호작용 하는 식으로 설계해야 한다. 약 30분마다 서버가 아무런 입출력이 없으면 비활성화되는데, 그 때 다른 서버로 옮겨가는 식이다. 왜냐하면 한 서버에 입력을 계속 줘서 24을 돌릴 수 없게 상한치가 정해져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각 16시간 정도 할당이 되는데 적당히 일을 분배하면 24시간 동안 계속 프로그램이 작동하게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유료 서버를 왜 이용하냐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 서버가 꺼졌다 켜졌다 상호작용을 하는 연산 시간 때문에 공백이 생겨서이다. 물론 프로그래밍으로 커버가 가능한 부분이지만 귀찮기만 하다. 사람은 '귀찮음'을 위해 기꺼이 돈을 지불하는 개체이기 때문에 서버 회사의 수익은 꽤나 안정적일 것이다.


    가온누리와 블로그를 계속 체크하면서 구독 봇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중간고사 이후에 webhook으로 사용자의 채팅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postgres DB를 써서 유저별로 사이트를 관리하게 만들 예정이다.

    Posted by Lamplighter